|
![](/img/skin/title01.gif) |
팽나무가 있는 마을의 풍경 |
![](/img/skin/title02.gif) |
김사달 |
![](/img/skin/title03.gif) |
2024년 10월 22일 |
![](/img/skin/title04.gif) |
13,000원 |
|
■ 시인의 말
연연히 시화연풍만을 기원하며 살아가는 촌부의 일상에서 시집 한 권 묶어내기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. 벼르고 벼르다가 시집 『강촌의 사계』를 낸 후 4년 만에 두 번째 시와 시조를 묶어서 『팽나무가 있는 마을의 풍경』이라는 제목으로 세상에 책을 띄우게 되었다. 글이란..
|
|
|
|
|
![](/img/skin/title01.gif) |
꽃구름 마차 |
![](/img/skin/title02.gif) |
김정훈 |
![](/img/skin/title03.gif) |
2024년 10월 22일 |
![](/img/skin/title04.gif) |
13,000원 |
|
■ 본문 중에서 *다시 태어난대도
나 다시 태어난대도 글밥 먹는 시인으로 태어나리
비록 가난할지언정 대자연을 노래하고 세상의 진리를 말하고 인간의 정서를 노래하는 시인으로 태어나리
시를 짓는다는 것은 시인..
|
|
|
|
|
![](/img/skin/title01.gif) |
연두색 사랑이 꽃피다 |
![](/img/skin/title02.gif) |
박태원 |
![](/img/skin/title03.gif) |
2024년 10월 14일 |
![](/img/skin/title04.gif) |
13,000원 |
|
■ 시인의 말
두 번째 시집을 세상에 내놓게 되었다. 구미 문화재단에서 창작지원금을 받아 발간하게 되어 더욱 의미가 있다. 시를 마주하게 된 지가 20년이 되었지만, 아직도 목마른 시인이다. 더 잘 써보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자꾸 비켜 가는 것만 같아 속상하다. 그러나 포기하지 않고 지금..
|
|
|
|
|
![](/img/skin/title01.gif) |
비우는 여행 |
![](/img/skin/title02.gif) |
김진길 |
![](/img/skin/title03.gif) |
2024년 9월 20일 |
![](/img/skin/title04.gif) |
13,000원 |
|
■ 시인의 말
가득 채웠던 욕심 배낭을 조금씩 비우니 가슴에 따뜻한 행복이 올라온다 마음에 가둔 맑은 향기 온몸에 천천히 스민다
비우는 길은 향기로워 2024년 가을 새수 김진길
<..
|
|
|
|
|
![](/img/skin/title01.gif) |
물푸레나무 |
![](/img/skin/title02.gif) |
홍의현 |
![](/img/skin/title03.gif) |
2024년 9월 1일 |
![](/img/skin/title04.gif) |
13,000원 |
|
■ 시인의 말
오래도록 곁에 두며 접해왔지만, 詩를 시집으로 묶는 일이 그리 녹록지는 않았습니다. 나만의 세계에서 그려지던 글들이 뭉뚱그려져 한 권의 책으로 세상에 나간다는 것이 큰 부담으로 다가왔습니다. 어느 한 줄 완벽히 익혀낸 것이 없는 것 같고 풋내기 감성과 설익은 눈빛들이 거친..
|
|
|
|
|
![](/img/skin/title01.gif) |
나라는 사람 2 |
![](/img/skin/title02.gif) |
윤혜원 |
![](/img/skin/title03.gif) |
2024년 8월 15일 |
![](/img/skin/title04.gif) |
13,000원 |
|
■ 시인의 말
알을 깨고 나와 퍼드덕 퍼드덕 날갯짓하며 독수리가 비상하듯 애벌레가 번데기 되고 번데기가 나비 되어 꽃에 내려앉듯 우리는 문득문득 진화하고 또 성장했음을 자각하게 됩니다.
이 모든 삶의 여정이 오직 지으신 이의 영광을 ..
|
|
|
|
|
![](/img/skin/title01.gif) |
나라는 사람 1 |
![](/img/skin/title02.gif) |
윤혜원 |
![](/img/skin/title03.gif) |
2024년 8월 15일 |
![](/img/skin/title04.gif) |
13,000원 |
|
■ 시인의 말
알을 깨고 나와 퍼드덕 퍼드덕 날갯짓하며 독수리가 비상하듯 애벌레가 번데기 되고 번데기가 나비 되어 꽃에 내려앉듯 우리는 문득문득 진화하고 또 성장했음을 자각하게 됩니다.
이 모든 삶의 여정이 오직 ..
|
|
|
|
|
![](/img/skin/title01.gif) |
84세에 쓰는 시 |
![](/img/skin/title02.gif) |
성점아 |
![](/img/skin/title03.gif) |
2024년 8월 15일 |
![](/img/skin/title04.gif) |
13,000원 |
|
■ 시인의 말
초등학교 때 이태백의 시를 보고 시인의 꿈을 가지게 되었다. 그러나 가정 형편 때문에 학업을 계속할 수 없었고, 또 여자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았던 시절이다 보니 내 꿈을 펼칠 수 없었다.
꿈을 포기할 수 없었던 나는 78세라는 늦은 나..
|
|
|
|
|
![](/img/skin/title01.gif) |
하늘도 가끔은 구름밥을 먹는다 |
![](/img/skin/title02.gif) |
서용례 |
![](/img/skin/title03.gif) |
2024년 8월 15일 |
![](/img/skin/title04.gif) |
13,000원 |
|
■ 시인의 말
오늘도 스위치를 켠다 시에게
그리고 세상에 나갈 채비를 한다 회색에서 초록의 계절이 활짝 열리길…
2024년 여름 서용례
■..
|
|
|
|
|
![](/img/skin/title01.gif) |
나를 건너간 무지개 |
![](/img/skin/title02.gif) |
신청호 |
![](/img/skin/title03.gif) |
2024년 8월 1일 |
![](/img/skin/title04.gif) |
13,000원 |
|
■ 시인의 말
무심천 상류를 끼고 살았던 동심 고향을 떠나지 못해 고향을 소우주로 삼아 나를 건너간 또한 나를 건너갈 무지개를 찾고 싶다 2024년 여름 신청호
|
|
|
|